7.스케쥴링 척도, FCFS
CPU 스케쥴링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안에 들어있고 아무런 동작도 하지안흔다. 메인메모리에 올라가서 실행이 되면 활동한다. 활동중에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함. 프로세스에 대한 것들을 PCB안에 넣어놓는다. 컴퓨터 안에는 여러가지 큐가 있는데 job queue, ready queue, device queue가 있다. 메인메모리에 여러 프로그램이 올라와있는게
CPU 스케쥴링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안에 들어있고 아무런 동작도 하지안흔다. 메인메모리에 올라가서 실행이 되면 활동한다. 활동중에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함. 프로세스에 대한 것들을 PCB안에 넣어놓는다. 컴퓨터 안에는 여러가지 큐가 있는데 job queue, ready queue, device queue가 있다. 메인메모리에 여러 프로그램이 올라와있는게
프로세스 관리CPU를 프로세스한테 어떻게 잘 나눠주는가에 대한것. Process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그램은 무덤속에 있는것. 프로세스는 살아있는것.program in execution: text + data + stack, pc, sp, registers, … 프로세스의 상태new - 메인 메모리로 올라온 상태.ready - 실행할 준비가 모두 다 된상태
운영체제 서비스지금은 서버컴퓨터 하나에 여러명이 동시에 사용하는 구조.이러한 구조에선 한사람이 잘못된 것을 할 경우 해악이 될 수있다. 다중유저시스템, 다중프로그래밍시스템에서 필요한 보호들 1.입출력장치 보호A,B가 바로 하드웨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어떻게? In(입력),Out(출력) 명령을 특권명령으로 만들어 A,B는 이를 실행하지 못하고 O/
이중모드, 하드웨어 보호한 컴퓨터를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는 환경이다.한사람의 실수가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일반유저는 STOP, HALT, RESET 등과같은 명령어는 일반 유저가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것. 이를 이중모드라 한다. 이를 사용자(user)모드, 관리자(supervisor) 모드 라고 한다.관리자 모드 = 시스템 모드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메모리는 하난데 CPU가 여러개이다. 이를 병렬 시스템이라고도 한다.장점 : 병렬 시스템을 통한 성능향상을 목표 비용 : 하나의 강한 CPU 보다 여러개의 저렴한 CPU로 구성하는것이 일반적으로 저렴하다. 신뢰성 제공 : 하나가 고장나도 다른 CPU로 돌릴 수 있다. CPU가 여러개일 때 운영체제를 다중 프로세서 운영체제라 한다. 또
컴퓨터의 역사2차세계 대전 중 1940년대 말 만들어졌다. 1.초기에는 운영체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2.이후엔 Batch processing system(일괄처리)이 나왔다이는 최초의 O/S로 볼 수 있다. 3.Multiprogramming system가령 수를 더해서 출력하고 다시 이를 특정 수를 반복해서 더하는 프로그램이 있다고 해보자.수를 더
운영체제 포스팅은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978503 (KOCW) 를 참고하여 작성됩니다. 운영체제가 없는 PC는 어떨까?야생마와 같다. 프로그램 실행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없게된다.하드디스크에 있는 파일을 메모리에 올릴수 없다.즉 하드디스크에 있는 파일을 운영체제가 올려주는것! 운영체제란?하
oneM2Miot 솔루션을 제공함에 있어 여러 벤더를 맞추기란 힘들다… oneM2M이라는 표준을 만들고 이를 여러 벤더가 맞춤으로써 응용개발사 또한 iot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 개발공수를 낮출 수 있게된다.oneM2M에는 CSE라는게 있는데 공통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이다. 가령 데이터 저장, 요금청구 등등 다양하게 있다.. CSE는 REST 형태로 제공되어 편
https://www.youtube.com/watch?v=tBQ085PvR9E 요약 IOT의 4계층Application layer - 스마트홈, 스마트카, 헬스케어Service layer - IoT 서비스 개발이 용이하도록 공통으로 요구되는 기능 제공 oneM2M, AllJoyn, OICNetwork layer - 장치 간 또는 서비스간 연결, 정보전달 H
TR-069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 말단 사용자 장치)Auto Configuration Servers (ACS, 자동 설정 서버) TR-069 (Technical Report 069)는 DSL 포럼 (이후 Broadband 포럼으로 변경)의 기술 명세서이다. 이 문서의 정식 명칭은 CPE WAN Management Pro
스마트 홈 구성필립스 휴 조명을 구매하고, 이를 시리를 통한 호출 또는 자동화를 위해선 필립스 휴 브릿지가 필요하는 사실을 늦게 깨달았다.필립스 휴 조명을 더 살 생각은 없었기에 휴 브릿지를 사기엔 애매했고,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 휴 조명과 연동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트리플 모니터를 사용 중 하나의 모니터는 필요에 따라 편하게 관리하고 싶었다.dual - triple 로 클릭만으로 전환할 수 있게 적용 1.MultiMonitorTool 설치https://www.nirsoft.net/utils/multi_monitor_tool.htm
premiere pro https://www.youtube.com/watch?v=VDVMGcC1zNU 프로젝트 생성 시퀀스 생성 영상 좌측 하단에 업로드 영상 좌측하단에서 우측으로 끌기 오디오 선택 후 우클릭 - 오디오 게인에서 -10 주면 잔잔하게. 오디오는 우측 창
리액티브 선언문https://www.reactivemanifesto.org 위에서 말하는 리액티브 시스템의 특징 4가지Responsive - 응답성Resilient - 유연성Elastic - 탄력성Message Driven 리액티브 스트림즈(Reactive Stream
간략하게 정리하는 Resilience4j Resilience4j의 핵심적인 기능들 CircuitBreaker Bulkhead RateLimiter Retry TimeLimiter Cache CircuitBreaker차단기와 같은것장애가 다른곳으로 전파되지 않게해줌HAL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