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컨테이너는 파일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담겨있는 박스이다. 컨테이너의 생명주기도커 컨테이너는 실행 중, 정지, 파기의 3가지 상태를 갖는다. 이를 도커 컨테이너의 생애주기라고 한다. 각 컨테이너는 같은 이미지로 생성했더라도 다른 상태를 갖는다. 실행 중 상태 : docker container run 명령의 인자로 지정된 도커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파일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담겨있는 박스이다. 컨테이너의 생명주기도커 컨테이너는 실행 중, 정지, 파기의 3가지 상태를 갖는다. 이를 도커 컨테이너의 생애주기라고 한다. 각 컨테이너는 같은 이미지로 생성했더라도 다른 상태를 갖는다. 실행 중 상태 : docker container run 명령의 인자로 지정된 도커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
도커이미지는 도커 컨테이너를 만들기 위한 템플릿이다컨테이너의 템플릿 역할을 하는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을 일반적으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한다고 한다. 그리고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빌드된 이미지를 사용한다. docker image build도커파일에 기술된 구성을 따라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는 명령.docker image build -t 이미지명[:태그명] Doc
도커에서 제공하는 스크립트로 설치 12$ sudo wget -qO- https://get.docker.com/ | sh$ sudo usermod -aG docker shkim 도커 이미지 : 도커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파일 시스템과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설정을 하나로 합친것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템플릿 역할을 한다. 도커 컨테이너 : 도커 이미지를 기반으로
도커 & 쿠버네티스도커와 쿠버네티스에 대해 더 공부해보고 싶어 아래책을 구매하였고 포스팅해 볼 예정이다. 도커란 무엇인가도커는 컨테이너형 가상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상주 어플리케이션(dockered라는 데몬)과 이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행 도구로 구성되는 프로덕트이다. 어플리케이션 배포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도커툴박스설치 https://docs.docker.com/toolbox/overview/ virtual machine 가 없다면 체크하여 설치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1234567891011121314151617$ ExecutionPolicy <-- 현재상태확인$ Set-ExecutionPolicy Unrestricted$
Scaling애플리케이션 스케일링하기이전 모듈에서 서비스를 만들고 퍼블릭하게 노출했다. 해당 디플로이멘트는 하나의 파드로 증가하도록 했다. 트래픽이 증가하면 사용자가 요구하는대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필요 있다,.스케일링은 디플러이먼트의 어플리케이션 replicas를 몇개할지 정하는것이다. 하나만 감싸고 있는 서비스를 여러노드에 거쳐 서비스를 스케일 아웃을
서비스를 사용하여 앱을 외부로 공개하기https://kubernetes.io/ko/docs/tutorials/kubernetes-basics/expose/expose-intro/ 지금까지의 앱은 컨테이너 안에서 도는데 private하고 네트웍도 isolate되어있었다. 그러므로 proxy 를 붙여서 동작했었다 쿠버네티스 서비스에 대한 개요파드는 언젠가 죽는
Podshttps://kubernetes.io/ko/docs/tutorials/kubernetes-basics/explore/explore-intro/ 디플로이먼트를 만들면 쿠버네티스는 파드를 만들어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호스트 해준다. 파드는 쿠버네티스 인스턴스이며 하나 또는 여러 컨테이너(도커나 rkt) 그룹을 추상화한것이다. 컨테이너 뿐만아니라 컨테
클러스터 생성 및 앱 배포이번에는 쿠버네티스란 무엇인지, 미니큐브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https://kubernetes.io/ko/docs/tutorials/kubernetes-basics/create-cluster/cluster-intro/ 참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쿠버네티스는 높은 가용성을 클러스터 하는것이다. 즉 하나의 유닛으로 일하는 여러 컴
쿠버네티스 개요https://kubernetes.io/ko/docs/tutorials/kubernetes-basics/ 참고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컨테이너화 된 어플리케이션을 클러스터에 배포하는가. 즉 도커이미지로 만든것을 클러스터 배포하는가. 이번엔 스웜이 아닌 쿠버네티스라는 클러스터에 배포하는것. 어떻게 스케일할것인가.
스마트 홈 구성필립스 휴 조명을 구매하고, 이를 시리를 통한 호출 또는 자동화를 위해선 필립스 휴 브릿지가 필요하는 사실을 늦게 깨달았다.필립스 휴 조명을 더 살 생각은 없었기에 휴 브릿지를 사기엔 애매했고,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 휴 조명과 연동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트리플 모니터를 사용 중 하나의 모니터는 필요에 따라 편하게 관리하고 싶었다.dual - triple 로 클릭만으로 전환할 수 있게 적용 1.MultiMonitorTool 설치https://www.nirsoft.net/utils/multi_monitor_tool.htm
premiere pro https://www.youtube.com/watch?v=VDVMGcC1zNU 프로젝트 생성 시퀀스 생성 영상 좌측 하단에 업로드 영상 좌측하단에서 우측으로 끌기 오디오 선택 후 우클릭 - 오디오 게인에서 -10 주면 잔잔하게. 오디오는 우측 창
리액티브 선언문https://www.reactivemanifesto.org 위에서 말하는 리액티브 시스템의 특징 4가지Responsive - 응답성Resilient - 유연성Elastic - 탄력성Message Driven 리액티브 스트림즈(Reactive Stream
간략하게 정리하는 Resilience4j Resilience4j의 핵심적인 기능들 CircuitBreaker Bulkhead RateLimiter Retry TimeLimiter Cache CircuitBreaker차단기와 같은것장애가 다른곳으로 전파되지 않게해줌HAL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