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로그 관리방법(Fluentd, Elasticsearch 활용)
도커에서는 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해도 로그를 파일이 아닌 표준 출력으로 출력하고 이를 Fluentd 같은 로그 컬렉터로 수집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활용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쪽에서 로그 로테이션을 할 필요가 없으며 로그 전송을 돕는 로깅 드라이버 기능도 갖추고 있으므로 로그 수집이 편리하다.로그 로테이션 : 로그로테이션이란 일정시간 주기로 원본 로그
도커에서는 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해도 로그를 파일이 아닌 표준 출력으로 출력하고 이를 Fluentd 같은 로그 컬렉터로 수집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활용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쪽에서 로그 로테이션을 할 필요가 없으며 로그 전송을 돕는 로깅 드라이버 기능도 갖추고 있으므로 로그 수집이 편리하다.로그 로테이션 : 로그로테이션이란 일정시간 주기로 원본 로그
어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배포하는 시대에 들어오면서 배포 전략에도 변화가 생겼다. 컨테이너의 장점을 살려 작업을 자동화하고 서비스 무중단을 어떻게 유지해야 할지를 고민한다. 롤링 업데이트디플로이먼트의 파드를 교체하는 전략은 .specs.strategy.type로 정의 되며 RollingUpdate(기본값), Recreate(기존 파드가 모두 삭제된 다음 새
깃랩에 프로젝트를 커밋하기 위해 다음 과정을 거친다.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를 깃랩에 생성 및 코드 반영 1234567git config --global user.name "sangheonKim"git config --global user.email "tkdgjs1501@nate.com"git initgit remote
젠킨스 플러그인 설치Jenkins관리 -> 플러그인 관리에 들어가서 다음 항목을 설치하자. 1234567891011Build Pipeline(Build Pipeline Plugin?)Aqua MicroScannerGitlab Authentication pluginGitLab PluginKubernetesPipelinePipeline Utility St
깃랩설치1.깃랩설치helm install –name sangheon-gitlab –set externalUrl=http://sangheon-gitlab.com stable/gitlab-ce 2.접속 1234$ kubectl get svc -w sangheon-gitlab-gitlab-ce # 설치가 잘 되었나 확인$ export SERV
DevOpsUsing DevOps to Solve your Delivery Challenges 배포는 너무 오래걸린다. 테스트에 대해 혼란스럽다. 특정 개인에 대한 높은 의존성. 데브옵스 모델은 lock을 제거한다. 데브옵스 모델은 프로비저닝한다. Delivery는 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ployment를 의
Database Design for Microservices트랜잭션, Aggregates에 영향을 많이끼친다. Front Microservice는 쉽다. ACID가 적용되는 것들Transaction, Aggregates, Entity ACID vs BASEACID 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and Durability S
Microservices Architecture 비즈니스 로직을 나누었다. 큰 프로그램 대신 몇몇의 작은 어플리케이션이다. 잘 정의된 API로 소통한다.(HTTP, AMQP 활용) 하나의 서비스가 정지될경우 다른것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What is Microservice Architecture? 각각의 컴포넌트를 시스템에 집어넣는것이며 각각 빌드되고
Implementing Domain-Driven Design For Microservices ArchitectureDDD의 원칙Values: Meaning, Unity, Usability, Fitness, Flexibility, MaintainabilityPrinciples: Continuous Learning, Knowledge Rich Design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운영하다 보면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여러 클러스터에 배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이럴 때 배포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값들때문에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배포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값만 정의해 둔 다음 이에 따라 배포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했는데 이를 해결한것이 바로 헬름이다.헬름은 쿠버네티스 차트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Claude Pro 플랜을 22달러에 결제하고 사용했던것, 사용기를 정리해본다. 클로드 파헤치기클로드 파헤치기 1. 슈퍼클로드페르소나를 지정해 더욱 전문적인 작업을 도움. 또한 플래그를 통해 사용할 MCP 지정, 추가 요구사항을 기입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많이쓰는것들을
최근 AI 트렌드 요약최근 LLM 관련 많은 자동화도구, 라이브러리, 툴 들이 생겨나면서 정리해본 내용을 올려본다. A. 노코드 / 워크플로우 / 파이프라인 자동화 도구 및 라이브러리1. n8n 오픈 소스 워크플로우 자동화 툴 GUI 기반 시각적 인터
스마트 홈 구성필립스 휴 조명을 구매하고, 이를 시리를 통한 호출 또는 자동화를 위해선 필립스 휴 브릿지가 필요하는 사실을 늦게 깨달았다.필립스 휴 조명을 더 살 생각은 없었기에 휴 브릿지를 사기엔 애매했고,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 휴 조명과 연동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트리플 모니터를 사용 중 하나의 모니터는 필요에 따라 편하게 관리하고 싶었다.dual - triple 로 클릭만으로 전환할 수 있게 적용 1.MultiMonitorTool 설치https://www.nirsoft.net/utils/multi_monitor_tool.htm
premiere pro https://www.youtube.com/watch?v=VDVMGcC1zNU 프로젝트 생성 시퀀스 생성 영상 좌측 하단에 업로드 영상 좌측하단에서 우측으로 끌기 오디오 선택 후 우클릭 - 오디오 게인에서 -10 주면 잔잔하게. 오디오는 우측 창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