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0 Comments

5. EL, JSTL

EL기존에 사용하는 스크립트릿을 <%= %>를 대체할 수 있따.<%= vo.getName %>를 $ { vo.name } 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를 EL(Expression Language)이라 한다.웹 페이지에 값을 표시(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태그JSP의 출력 문법을 보완하는 역할${} 를 사용한다.표현언어의

0 Comments

4. 서블릿의 Life Cicle, MVC, Model1

첫번째 호출 때는init() calledservice() calleddoGet() called순으로 이어진다. 두번 째 호출때는service() calleddoGet() called순으로 이어진다 즉 변수를 선언 할 때는 init() 메소드 안에 선언해주는것이 좋으나 동기화를 잘 해줘야하는단점이 있다. MVC아키텍쳐 패턴 중에 하나로 GUI 기반 Appli

0 Comments

3. Servlet & JSP 응용실습

JSPjsp파일은 내부적으로 서블릿으로 변환 된다는 점을 잊지말자.톰캣이 자동으로 해준다. 리다이렉트 포워드의 차이포워드 - 새로운 페이지는 이전 페이지에서 처리하던 것과 같은 요청을 처리하게 하고 응답하여 브라우저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가 연관 된 것을 알 수 없다. 리다렉트 - 첫번째 페이지는 브라우저에게 새로운 페이지로 다시 요청해야 한다는 내용

0 Comments

2. Servlet & JSP 기본실습

JSP도 곧 서블릿임을 잊지말자. GET 방식 : http://naver.com?이름=shkim&암호=1234 get방식으로 한글을 보낼경우 글이 깨지는데 이때는 server을 열고 server.xml을 열자. 65라인에 URIEncoding=”utf-8”을 추가해주자 WebContent에 form.jsp 생성form , 절대경로, 상대경로

0 Comments

1. servlet이란? 실습

톰켓을 서블릿 콘테이너, WAS라 부른다. JSP - HTML을 아는사람들이 쉽게 만들 수 있는것.결국 이도 서블릿 클래스로 변한다.톰캣은 web.xml파일의 매핑 정보를 보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날려준다. 서버 생성하고 - 프로젝트 익스플로러 탭에서 우클릭- web프로젝트 생성 - next-next-맨 아래 체크 - finish 이클립스가 프로젝트명.wa

0 Comments

12. 정규화

데이터 베이스 설계의 주된 목적중복성 제거, 정규화 데이터 모델데이터베이스 설계를 도식화한 도표로서 엔티티, 속성, 관계 3가지 요소로 구성 정규화갱신이상, 데이터의 중복성을 제거. 데이터 모델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해준다. 제 1 정규형(1NF)모든속성이 하나의 값을 가질 때 제 1 정규형이라 한다.(도메인이 원자값 임) 제 2 정규형(2NF)하나의 엔티티

0 Comments

11. DAO

DAOData Access Object데이터베이스 접근 부분을 캡슐화하여 메소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한다. 이때 결과는 VO객체를 통해 얻는다. AuthorDao.java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

0 Comments

10. JDBC

JDBC-자바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접속과 SQL 문장의 실행, 그리고 실행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의 핸들링을 제공하는 방법과 절차에 관한 규약-자바 프로그램내에서 SQL문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 API-SQL과 프로그래밍 언어의 통합 접근 중 한 형태 Class.forName메소드란?클래스를 로딩하는 메소드이다.//왜 new OralcD

0 Comments

9. Data Dictionary, DCL, ROLE

Data Dictionary란?모든 스키마 객체 정보, 스키마 객체의 공간 정보, 컬럼의 기본값, 제약조건 정보, 오라클 사용자 정보, 권한 및 롤 정보, 기타 데이터베이스 정보 … SELECT * FROM DICTIONARY;–데이터 딕셔너리 조회 SELECT * FROM USER_OBJECTS; SELECT * FROM USER_OBJECTS WHERE

0 Comments

8. Commit, Transaction, Delete, Update, CONSTRAINT

Commit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커밋을 해줘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이 된다.오라클의 경우 DDL은 자동으로 커밋이 되며 DML은 직접 커밋을 해줘야 한다.커밋의 과정중 에러가 나면 롤백시킨다. Transaction여러개의 job를 묶어 놓은것을 Transaction이라 한다. DELETEDELETEFROM BOOKWHERE NO = 1; COM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