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장애대책
도커 운영 시의 장애 대책주로 dockerd 자체보다는 운영하는 사람의 실수나 부주의에서 비롯되거나 서버 리소스에 의한것이많다. 장애를 막기 위한 이미지 운영의도하지 않은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경우 운영 환경에서 latest버전의 이미지를 실행하거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과정에서 최신 이미지를 실행한 상황 latest 외의 버전 이미지를 덮어쓴 상황 ex
도커 운영 시의 장애 대책주로 dockerd 자체보다는 운영하는 사람의 실수나 부주의에서 비롯되거나 서버 리소스에 의한것이많다. 장애를 막기 위한 이미지 운영의도하지 않은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경우 운영 환경에서 latest버전의 이미지를 실행하거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과정에서 최신 이미지를 실행한 상황 latest 외의 버전 이미지를 덮어쓴 상황 ex
구글 구글스택드라이버구글 스택드라이버는 GCP나 AWS에서 로깅 및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매니지드 서비스이다. https://app.google.stackdriver.com/ 으로 접속하거나 콘솔메뉴(왼쪽메뉴바)에서 모니터링을 선택하자. 그 후 Logging 탭을 선택하자.스택드라이버에서는 로그를 Cloud HTTP 로드 밸런서나 GKE 컨테이너와 같은 카테
도커에서는 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해도 로그를 파일이 아닌 표준 출력으로 출력하고 이를 Fluentd 같은 로그 컬렉터로 수집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활용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쪽에서 로그 로테이션을 할 필요가 없으며 로그 전송을 돕는 로깅 드라이버 기능도 갖추고 있으므로 로그 수집이 편리하다.로그 로테이션 : 로그로테이션이란 일정시간 주기로 원본 로그
어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배포하는 시대에 들어오면서 배포 전략에도 변화가 생겼다. 컨테이너의 장점을 살려 작업을 자동화하고 서비스 무중단을 어떻게 유지해야 할지를 고민한다. 롤링 업데이트디플로이먼트의 파드를 교체하는 전략은 .specs.strategy.type로 정의 되며 RollingUpdate(기본값), Recreate(기존 파드가 모두 삭제된 다음 새
깃랩에 프로젝트를 커밋하기 위해 다음 과정을 거친다.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를 깃랩에 생성 및 코드 반영 1234567git config --global user.name "sangheonKim"git config --global user.email "tkdgjs1501@nate.com"git initgit remote
젠킨스 플러그인 설치Jenkins관리 -> 플러그인 관리에 들어가서 다음 항목을 설치하자. 1234567891011Build Pipeline(Build Pipeline Plugin?)Aqua MicroScannerGitlab Authentication pluginGitLab PluginKubernetesPipelinePipeline Utility St
깃랩설치1.깃랩설치helm install –name sangheon-gitlab –set externalUrl=http://sangheon-gitlab.com stable/gitlab-ce 2.접속 1234$ kubectl get svc -w sangheon-gitlab-gitlab-ce # 설치가 잘 되었나 확인$ export SERV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운영하다 보면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여러 클러스터에 배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이럴 때 배포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값들때문에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배포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값만 정의해 둔 다음 이에 따라 배포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했는데 이를 해결한것이 바로 헬름이다.헬름은 쿠버네티스 차트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쿠버네티스 사용자마다 권한을 제어하는 것은 쿠버네티스 운영하는데 있어 보안을 확보하는 기본적인 방법이다. 쿠버네티스 사용자는 두 가지 개념으로 나뉜다.일반사용자: 클러스터 외부에서 쿠버네티스를 조작하는 사용자로 다양한 방법으로 인증을 거친다. 개발자 및 운영 실무자가 쿠버네티스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접근을 관리하기
파드, 레플리카세트, 디플로이먼트, 서비스, 인그레스는 데몬으로 동작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사용되는 기본 리소스이다쿠버네티스는 데몬으로 동작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 외에도 배치 서버등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잡잡은 하나 이상의 파드를 생성해 지정된 수의 파드가 정상 종료될 때까지 이를 관리하는 리소스다.잡이 생성한 파드는
스마트 홈 구성필립스 휴 조명을 구매하고, 이를 시리를 통한 호출 또는 자동화를 위해선 필립스 휴 브릿지가 필요하는 사실을 늦게 깨달았다.필립스 휴 조명을 더 살 생각은 없었기에 휴 브릿지를 사기엔 애매했고,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 휴 조명과 연동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트리플 모니터를 사용 중 하나의 모니터는 필요에 따라 편하게 관리하고 싶었다.dual - triple 로 클릭만으로 전환할 수 있게 적용 1.MultiMonitorTool 설치https://www.nirsoft.net/utils/multi_monitor_tool.htm
premiere pro https://www.youtube.com/watch?v=VDVMGcC1zNU 프로젝트 생성 시퀀스 생성 영상 좌측 하단에 업로드 영상 좌측하단에서 우측으로 끌기 오디오 선택 후 우클릭 - 오디오 게인에서 -10 주면 잔잔하게. 오디오는 우측 창
리액티브 선언문https://www.reactivemanifesto.org 위에서 말하는 리액티브 시스템의 특징 4가지Responsive - 응답성Resilient - 유연성Elastic - 탄력성Message Driven 리액티브 스트림즈(Reactive Stream
간략하게 정리하는 Resilience4j Resilience4j의 핵심적인 기능들 CircuitBreaker Bulkhead RateLimiter Retry TimeLimiter Cache CircuitBreaker차단기와 같은것장애가 다른곳으로 전파되지 않게해줌HAL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